google translate

Newspaper

To share Artist`s Music with even more People, we use SNS and Youtube parallel to media such as TV, Radio and Newspapers, to maximize the Impact and Efficiency.
아티스트의 예술적 활동을 뒷받침 해주기 위해 미디어와 언론을 통한 마케팅에 SNS, 유튜브를 병행하여 다양한 타겟층을 확보함은 물론이고 비용적 효율성을 극대화 시키고 있습니다.  

[뉴스핌 2013.02.25] 'ideas worth spreading' the opening of the …

4,555 2013.03.02 18:23

짧은주소

본문

"지식은 공유될 때 가치있다"..TED 컨퍼런스, 오늘 개막
 
올해 행사엔 한국인 4명 등 일반인도 강연..네트워크 통해 글로벌 지식공유 2013-02-25 14:52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제레미 리프킨이 설파했듯 지식이 핵심 자산이 된 사회의 시류는 이에 대한 ′독점′이 아니라 ′공유′로 나가고 있다. 리프킨은 저서 <소유의 종말>에서 협업 경제 시스템에서는 중요한 정보를 오픈소스로 내놓게 되고, 지식을 소유하고 통제하는 것은 협업을 가로막는 일차적 장애라고 주장했다. 네트워크의 발전으로 인한 ′접속′은 이를 가능하게 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근본적인 인프라다.

그리고 이렇게 지식은 공유하고 융합, 통섭할 때 가치가 있다는 신(新) 지식기반 사회의 모토를 몸소 실행, 지식 공유 사회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한 테드(TED) 올해 메인 행사가 25일(현지시간) 개막된다. 테드는 테크놀로지(Technology), 엔터테인먼트(Entertainment), 디자인(Design)의 앞자를 따서 만든 이름. ′퍼뜨릴 가치가 있는 아이디어(ideas worth spreading)′가 테드의 존재 이유다.

그러나 이제는 이 세 가지 분야가 아니라 매우 넓은 분야에 대한 호기심들이 다양한 주제들을 촉발하고 이것이 공유, 융합되고 있다. 과거 일부 전문가와 매니아들 사이에서만 ′숭배됐던′ 행사가 이제 전 세계적 현상으로 자리잡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도 이 영향을 받아 ′콘서트′란 이름을 붙인 각종 강연회가 최근 몇 년 사이 붐을 이루고 있다. 


전 세계 일반인 강연자들을 선발했던 TED 탤런트 서치포스터

TED 올해 메인 컨퍼런스는 캘리포니아주 롱비치에서 개막된다. 올해의 주제는 ′청년과 현인, 그리고 아직 발견되지 않은 사람들(The Young, The Wise, and The Undiscovered)′.

특히 올해 행사에서 주목할 만한 부분은 ′발견되지 않은 사람들′. 빌 게이츠나 앨 고어, 제이미 올리버 같은 전문가들만 TED 무대에 서는 것이 아니라 올해 사상 처음으로 일반인들이 강연에 나설 예정이기 때문이다.

TED는 이를 위해 지난해 4~6월 전 세계 14개 도시(암스테르담 방갈로르 도하 요하네스버스 런던 나이로비 뉴욕 상파울루 서울 상하이 시드니 도쿄 튀니스 밴쿠버)에서 ′탤런트 서치′ 오디션을 열어 33명을 뽑았다. 우리나라에선 활 제작자인 장동우(16)씨와 바이올리니스트 박지혜(28)씨, 탈북자 출신으로 현재 한국외국어대 학생인 이현서(33)씨, 디자이너 이진섭(35)씨 등 4명이 선발됐다.

TED는 4일에 걸쳐 열리는 연례 메인 컨퍼런스. 매년 개최되는 형태가 된 건 1990년부터이며 2009년까지는 캘리포니아주 몬트레이에서 열리다 참가자 수가 불어나면서 롱비치로 자리를 옮겼다. 그리고 30주년이 되는 내년엔 캐나다 밴쿠버 브리티시 컬럼비아로 이동한다. 이외에도 ′TED 글로벌′이란 이름으로 미국 외 나라에서 개최되기도 한다.

2006년부터는 인터넷을 통해 전 세계에 컨퍼런스 동영상이 개방되면서 수요가 급격히 늘어났고 이에따라 ′TEDx′란 라이센스 제도가 마련됐다. 라이센스를 취득하게 되면 각 나라나 커뮤니티, 대학, 기관 등이 자체적으로 컨퍼런스를 열 수 있도록 한 것. 우리나라에서도 서울대와 카이스트 등 대학과 명동, 신촌 등 일부 지역이 라이센스를 받아 TEDx 컨퍼런스를 하고 있다(http://tedxtalks.ted.com/browse/talks-by-country/korea).

TED 컨퍼런스의 이런 급속한 전파와 성장은 신 지식사회 발전과 함께 ′큐레이터′ 크리스 앤더슨(Chris Anderson)의 노력이 맞물린 결과다. 잡지 편집장 출신인 앤더슨은 2001년 비영리 재단 TED를 인수했다. 여전히 비영리로 운영된다.

TED의 성공 비결로는 우선 매우 다양한 형태로 강연을 할 수 있도록 해 콘텐츠의 다양성을 확보했다는 점. 자신이 가진 아이디어를 전달하기 위해선 어떤 방식의 퍼포먼스도 가능하다.

또 강연 시간에 제한을 두어 알차게 구성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한 연사가 강연할 수 있는 시간은 18분으로 제한돼 왔다. 청중들이 "아하!"하고 깨닫게 되는 순간(Aha! Moment)을 경험하려면 지루해선 안되며 18분이면 충분하다는 이유에서였다. 올해는 일반인들까지 참가, 강연자가 늘어 12분으로 짧아졌다. 내년부터는 관람할 수 있는 인원도 현재의 1400명에서 1200명으로 줄어든다.

온라인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라이센스제를 실시해 지식 접근의 평등성, 공유, 확산이 가능하도록 했다는 점도 중요하다. 몇 억원씩이나 들여야 들어볼 수 있는 유명인사들의 강연을 테드 홈페이지나 유튜브 같은 동영상 공유 사이트를 통해 무료로 볼 수 있다. 각국어로 번역된 자막을 제공하는데 우리말도 서비스된다. 또한 유명인들이나 일반인들이나 자신이 갖고 있는 지식과 아이디어, 재능을 ′기부′하는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는 점도 주목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이러한 지식 공유 및 기부 문화가 다수 시도되고 있다. 정재승 카이스트 교수가 주도하는 ′10월의 하늘′이란 과학 자원봉사 강연이나 대학생들이 주축이 돼 국내 지식인들을 초빙해 지식공유 형태의 강연을 받는 올리브(OLIVE : Open lecture Live) 프로젝트 등이 있다.

TED는 "지난해 가을 동영상이 10억뷰를 기록했고 지난달 6000번째 TEDx 행사가 열리는 등 상징적인 기록들을 세웠다. 또한 우리는 새로운 모험을 준비하고 있다"면서 "올해 컨퍼런스에서 일반인들이 강연에 나서게 됨으로써 프로그램이 상당히 풍부해지게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http://www.newspim.com/view.jsp?newsId=20130225000458 뉴스원본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Total 220건 34 페이지
News